Viewer

메뉴 건너뛰기

양육상담 신청

조회 수 84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수정 삭제

 

다음의 항목은 원활한 상담을 위해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해당 항목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여 고민 글을 작성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고민 내용과 문제가 발생되는 구체적인 상황 (예시 포함)
고민 상황에서 양육자의 대처 방법
아이의 문제 상황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반응

예시)
우리 아이는 밥을 너무 안 먹어요.
식사 시간에는 밥을 입 안에 물고 삼키질 않아요.
식전에 아이가 ~~이런 간식을 좋아해서, 조금 주는 편이에요.
혹시 간식 때문에 밥을 잘 안 먹는 걸까요? 그래도 밥을 잘 안 먹으니 간식이라도 안주면 어떻게 될까 싶어서 자꾸 주게 돼요.
밥을 잘 안 먹으면 저는 아이에게 ~~~ 이렇게 말해줘요. 그리고 ~~ 이런 행동을 해요. 배우자는 ~~이렇게 얘기해요.

 



여기에 작성해주세요.
위의 핸드폰 번호는 시스템적으로 필요한 부분일뿐,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가 가끔 본인 의견과 다른 말을 할 때 약간 난감한 표정을 지으며 떼?를 씁니다. 

(90%는 서로 의견이 잘 맞고 조율을 하는데, 가끔 이런 경우에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ex. 

 아이: 엄마 이거 글자 000 맞지?

 엄마: 앗 이거는 000라고 읽는거 같은데?

 아이: 아니야 000가 맞아~!!!! 이게 맞다고!!

 

ex2. 

 아이: 엄마 우리 이거 가지고 놀자~(하며 메이크업박스를 들고 오다 모르고 제 다리에 떨어뜨림)

 엄마: 아야!!! 아 아파 

 아빠: 000! 너 물건 왜 던져!

 아이: (엉엉 울며) 아니야 아니야!!

 (나중에 물어보니, 재밌게 놀이하려했는데 엄마가 아픈걸 보고 속상해서 그랬다고 합니다) 

 

아이 기질검사를 해보았을 때 순하고 명랑하고 긍정적이며, 자율성과 사회적 감수성이 굉장히 높고 끈기, 참을성이 높은 아이라고 나왔습니다. 위 사례도 대부분의 경우는 그냥 서로 잘 대화하고 조율하는 경우가 많지만, 가끔 저렇게 떼를 쓰는 상황이 나올 때, 제가 뭔가 더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야 하고 대답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제 추측으로는..아이가 성취욕이 높아 무언가 칭찬받고싶거나(제 추측입니다) 즐겁게 놀고 싶어 상호 작용을 시작했는데 그게 제대로 되지 않아 화가나서 그런건지..그렇다해도 훈육할것이나 고쳐줄 것은 말해야할 듯 한데 어떻게 아이와 잘 상호작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작성하신 상담 내용은 공익을 위해 특정 개인을 유추 할 수 없도록 재구성 한 후,
‘영유아 가정의 공통 고민’ 게시판 등에 활용 될 수 있습니다.

 

 

 

 

 

 

 

 

 

 

  • ?
    길현선상담전문가 2024.09.06 17:14
    어머니 안녕하세요.
    상담사 길현선입니다.

    평소 순한 아이가 떼를 부리면 난감하실 거예요,
    자신의 의견과 다른 경우 떼를 쓰기도 하고, 실수하면 속상해하며 울며 속상해하는 거 같아요.

    아이에게 적절한 의사 표현 방법을 알려 주세요.
    4세 아이에게는 언어 표현을 알려 주시면 좋아요.

    1.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 부모님마다 수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요.
    메이크업 박스를 떨어뜨렸을 때, 어떤 부모님은 ‘괜찮아 담으면 되지’라고 하고, 어떤 부모님은 ‘조심해야지’라고 할 수 있어요.
    - 누구의 문제인지 고민해 보세요.
    ‘엄마 미워’라고 할 때, 화가 나는 경우·아이가 그 순간 화가 나서 한 말일 수 있어요. 하지만, 그 말을 듣고 엄마가 화를 나고 야단을 치는 경우 누구의 문제인지 생각해 보세요.
    - ‘나 메시지’ 전달법을 활용하세요.
    ‘지금 놀이터에 나갈 거야. 모래놀이할 건데, 네가 아끼는 드레스를 입고 나가면, 불편할지 걱정이 돼.’
    - 꼭 지켜야 하는 규칙도 알려 주세요.
    - 절대 비교하지 마세요
    - 칭찬과 긍정적인 표현을 자주 해 주세요.
    - 아이와 함께 해결 방법을 찾는 과정은 어렵고 힘이 들어요.
    실수하며, 여러 방법을 해 보며 아이는 성장을 하고 부모님도 양육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2. 실수를 경험하게 해 주세요
    - 짜증을 내서 화를 내니까 우니까 시간이 걸려서 부모님이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읽고 문제를 해결하면 안 돼요.
    - 실수하며, 좌절을 겪을 때, 부모님의 격려와 지지를 통해 긍정의 정서를 느끼게 돼요.
    - 실수의 경험과 해결을 배우면, 아이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
    - 부모님이 실수할 경우,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 주세요.

    4, 5세 정도가 되면, 아이는 조금씩 주도성이 발달하기 시작해요.
    그래서 미운 오리 새끼가 되는 시기예요.
    주도성이 건강하게 표현되지 못하면, 고집을 부리거나 떼를 쓰기도 해요.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하게 해 주세요
    부적절한 경우에도 지적하기보다는 대안을 알려 주고 스스로 선택하게 해 주세요.
    선택한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으로 성취감이 생기면 실패와 좌절도 잘 이겨낼 수 있어요.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부모도 성장하는 과정이에요.
    육아는 힘이 들고 지칠 때도 있어요.
    아이에 관한 관심과 사랑이 크신 것이 보여요.
    건강한 아이로 성장할 것을 기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상담현황
공지 👀[공지] 양육코칭 어떻게 받는거에요? file 2022.02.08 657 공지
76 상담요청드립니다 2025.01.21 7 접수
75 영유아 발달 상담신청 1 2024.12.27 16 완료
74 자기욕구가 강한 7세 1 2024.12.24 19 완료
73 몸에 열이 많은 만4세의 하의실종 1 2024.11.21 29 완료
72 또래 아이들과의관계 1 2024.11.15 24 완료
71 4살 아이 상담 요청드립니다. 1 2024.11.06 55 완료
70 아이의 사회성 1 2024.10.20 38 완료
69 까치발 교정하는 방법 1 2024.10.02 136 완료
68 23개월 아이 육아 고민 상담 1 2024.09.24 77 완료
67 양육코칭 신청 1 2024.09.19 73 완료
66 아이상담 1 2024.09.09 61 완료
» 순한 아이가 가끔 떼를 부리는 상황 다음의 항목은 원활한 상담을 위해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해당 항목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여 고민 글을 작성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고민 내용과 문제가 발생되... 1 2024.09.02 84 완료
64 27개월, 하고 싶은 게 잘 안될 때 짜증내고 화내는 아이 / 양치질을 배우면서 침을 뱉는 유사 장난을 치는 아이 / 아이가 누군가를 다치게 했을 때 보여야 하는 반응 1 2024.09.02 144 완료
63 만 4세 아이의 행동과 상담의 범위에 대해 궁금합니다 2 2024.04.09 149 완료
62 6-7개월 수면교육 1 2023.12.14 133 완료
61 16개월 뜻대로 안되면 소리지르는 아기 1 2023.12.13 241 완료
60 소근육발달 1 2023.10.24 175 완료
59 사회성 부족이거나 기질인건가요.. 1 2023.09.21 167 완료
58 자기중심적 성향이 심한 아이 1 2023.09.15 171 완료
57 45개월 남아 키우는 엄마입니다. 1 2023.08.03 171 완료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