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er

메뉴 건너뛰기

양육상담 신청

조회 수 136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수정 삭제

 

다음의 항목은 원활한 상담을 위해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해당 항목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여 고민 글을 작성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고민 내용과 문제가 발생되는 구체적인 상황 (예시 포함)
고민 상황에서 양육자의 대처 방법
아이의 문제 상황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반응

예시)
우리 아이는 밥을 너무 안 먹어요.
식사 시간에는 밥을 입 안에 물고 삼키질 않아요.
식전에 아이가 ~~이런 간식을 좋아해서, 조금 주는 편이에요.
혹시 간식 때문에 밥을 잘 안 먹는 걸까요? 그래도 밥을 잘 안 먹으니 간식이라도 안주면 어떻게 될까 싶어서 자꾸 주게 돼요.
밥을 잘 안 먹으면 저는 아이에게 ~~~ 이렇게 말해줘요. 그리고 ~~ 이런 행동을 해요. 배우자는 ~~이렇게 얘기해요.

 



 

안녕하세요,

이제 곧 세 돌이 되어 가는 남아인데요,

 

까치발을 자주해서 문의글을 남깁니다.

 

26개월 정도부터 걷기 시작해서 어느 정도 잘 걷게 된 이후에 

일상적으로 걸을 때 7~80%는 까치발을 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발바닥이렇게 얘기하면서 까치발을 하지 않도록 얘기해주면

두 세 걸음 발바닥으로 걷고 이후에는 다시 까치발을 합니다

(까치발 때문에 "발바닥" 이렇게 얘기하는 횟수가 하루에 수십번은 되는 것 같아요)

 

뛸 때에도 걸을 때보다는 발바닥이 더 닿는 것처럼 보이는데, 완전히 뒷꿈치를 딛고 뛰지는 않습니다.

혹시라도 신경, 근육 등에 이상이 있는건 아닌지 지난 주에 어린이 병원 재활의학과에서 전문의 진료를 보기도 했는데,

30분 이상 진료를 보시더니 특별히 어디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다만, 계속 이렇게 까치발을 하게 되면 종아리 근육이 짧아지게 되니 최대한 까치발 하지 않도록 지도해 주라고 하는데요,

어떻게 하면 보행 습관을 건강하게 고칠 수 있을지 문의 드립니다.

 

 

 

 

 

 

 

 

 

 

 

 



✔ 작성하신 상담 내용은 공익을 위해 특정 개인을 유추 할 수 없도록 재구성 한 후,
‘영유아 가정의 공통 고민’ 게시판 등에 활용 될 수 있습니다.

 

 

 

 

 

 

 

 

 

 

  • ?
    길현선상담전문가 2024.10.07 16:18
    어머니 안녕하세요.
    상담사 길현선입니다.

    세 돌이 다 되어 가는 아기가 까치발을 자주 해서 신경이 쓰이시지요.
    병원에서 검사하고,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그래도 걱정되지요.

    아기들이 걷기 발달을 하면서 중심을 못 잡을 때마다 발에 힘을 줬다가 풀기를 반복하면서 뒤꿈치가 닿았다가 안 닿았다가를 반복해요.
    아기들 머리가 커서 무게 중심을 잡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어요.
    아기들에 따라서 몸을 띄우는 걸 좋아하는 때도 있어요.
    그리고 통통거리며 걸어 다니는 것도 좋아하기도 해요.
    걷기에 익숙해지며 뒤꿈치를 들고 걷기도 하고 붙이고 걸어보기도 하며 시행착오들 겪는 과정일 수 있어요.
    잘못된 자세나 걸음으로 인해 발의 부하가 부적절하게 분산되어서 일어나기도 해요.
    걸음마를 시작하며 연습할 때의 습관이 남아있을 수도 있어요.
    가족 중에 까치발로 걷는 사람이 있으면 따라 할 수도 있어요.
    발바닥이 바닥에 닿는 감각의 어색함과 불편함이 있을 수도 있어요.
    다양한 이유가 있어요.

    아기에게 자꾸‘까치발’이라고 말하면, 부모의 관심을 받게 되기에 더할 수도 있어요.
    재활의학과 전문의 선생님이 특별히 문제가 있는 것 같지 않다고 하니, 그냥 둬보시면 해요.

    종아리 근육과 아킬레스건을 스트레칭시키고 마사지를 해 주세요.
    1. 아기를 편안하게 눕혀주세요.
    2. 두 다리를 모아 아이의 발목을 잡고 아래로 당기듯 쭉쭉 늘려주세요.
    3. 발바닥을 잡고 발등 쪽으로 당겨주세요.
    4. 두 다리를 최대한 벌려서 앉힌 다음에 아기의 등을 천천히 눌러주는 스트레칭을 해 주세요.
    5. 여러 번 반복해 주세요.
    6. 절대 심하게 누르시지 말고 적당한 강도로 해 주세요.

    평소에도 자주 아기의 발과 발바닥을 충분히 만져주세요.
    다양한 촉각을 발바닥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좋아요.
    평편한 곳에서 발바닥을 땅에 붙이고 안정적으로 걷는 연습을 해도 좋아요.
    아기의 발에 잘 맞는 신발을 신고, 미끄럽지 않은 곳에서 걷게 해 주세요.

    지금 아기는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지고, 자기중심적인 논리와 상황에 맞는 말을 하는 시기예요.
    자기감정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어요.
    아기와 충분한 시간과 놀이를 해 주세요.
    부모님의 사랑과 노력으로 아기가 더 건강하게 성장할 거라고 기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상담현황
공지 👀[공지] 양육코칭 어떻게 받는거에요? file 2022.02.08 657 공지
76 상담요청드립니다 2025.01.21 7 접수
75 영유아 발달 상담신청 1 2024.12.27 16 완료
74 자기욕구가 강한 7세 1 2024.12.24 19 완료
73 몸에 열이 많은 만4세의 하의실종 1 2024.11.21 29 완료
72 또래 아이들과의관계 1 2024.11.15 24 완료
71 4살 아이 상담 요청드립니다. 1 2024.11.06 55 완료
70 아이의 사회성 1 2024.10.20 38 완료
» 까치발 교정하는 방법 다음의 항목은 원활한 상담을 위해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해당 항목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여 고민 글을 작성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고민 내용과 문제가 발생되... 1 2024.10.02 136 완료
68 23개월 아이 육아 고민 상담 1 2024.09.24 77 완료
67 양육코칭 신청 1 2024.09.19 73 완료
66 아이상담 1 2024.09.09 61 완료
65 순한 아이가 가끔 떼를 부리는 상황 1 2024.09.02 83 완료
64 27개월, 하고 싶은 게 잘 안될 때 짜증내고 화내는 아이 / 양치질을 배우면서 침을 뱉는 유사 장난을 치는 아이 / 아이가 누군가를 다치게 했을 때 보여야 하는 반응 1 2024.09.02 144 완료
63 만 4세 아이의 행동과 상담의 범위에 대해 궁금합니다 2 2024.04.09 149 완료
62 6-7개월 수면교육 1 2023.12.14 133 완료
61 16개월 뜻대로 안되면 소리지르는 아기 1 2023.12.13 241 완료
60 소근육발달 1 2023.10.24 175 완료
59 사회성 부족이거나 기질인건가요.. 1 2023.09.21 167 완료
58 자기중심적 성향이 심한 아이 1 2023.09.15 171 완료
57 45개월 남아 키우는 엄마입니다. 1 2023.08.03 171 완료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